티스토리 뷰
블로그 저자의 환경
- AWS EC2
- Ubuntu 18.04.3 LTS
설치파일 다운 및 설치
wget -q -O - https://pkg.jenkins.io/debian/jenkins-ci.org.key | sudo apt-key add -
sudo sh -c 'echo deb http://pkg.jenkins.io/debian-stable binary/ > /etc/apt/sources.list.d/jenkins.list'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jenkins
설정 변경하기
sudo vim /etc/default/jenkins
포트 변경하기
- 기본포트는 8080으로 설정되어 있다.
JENKINS 시작하기
위와 같이 설치하면, 서비스에도 등록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시작, 종료 하면 됩니다.
sudo service jenkins start
sudo service jenkins stop
로그파일 정보
/var/log/jenkins/jenkins.log
start 이후 http://ip:port 로 접근하면,
위와 같은 내용이 확인이 되는데, cat 명령어로 아래의 파일을 조회하면 비밀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.
sudo cat /var/lib/jenkins/secrets/initialAdminPassword
찾아진 비밀번호를 넣고 Continue를 누릅니다.
'개발 > Jenkin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enkins tomcat 배포 (0) | 2019.12.04 |
---|---|
JENKINS 삭제하기 (0) | 2019.12.04 |
JENKINS 로그인 비밀번호 분실 시 (1) | 2019.12.04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gitlab
- 백준
- 알고리즘
- tomcat
- EC2
- 2438
- utf8mb4
- Java
- swap
- sqlSessionTemplate
- 언어셋
- 백준2742
- SqlSessionFactory
- 백준2438
- 백준15552
- AWS
- 11022
- gradle
- @MapperScan
- ubuntu
- gitlab삭제
- 백준11021
- Jenkins
- intellij
- Oracle
- SpringBoot
- Lombok
- 백준4673
- 백준11022
- 백준2439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